캠핑장 상세 정보
* 땅바닥 형태
잔디 | 데크 | 파쇄석 | 맨흙 | 기타 |
* 이용조건
화로대사용 | 동계캠핑 | 반려동물출입 |
* 편의시설
전기 | 온수 | 샤워실 | 매점 | 장작판매 |
온수샤워 | WiFi | 장비대여 | 수영장 | 운동장 |
* 주변시설
낚시 | 해수욕장 | 계곡 | 산책로 | 강 |
호수 |
* 숙박시설
카라반 | 팬션 | 방갈로 | 글램핑 |
가산산성야영장은 경북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실시간예약방식으로 예약이 가능합니다.
데크, 맨흙 사이트가 총 187개로 구성되어 있고, 화장실, 샤워실, 취사장 등의 편의시설과 운동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근에 가볼만한 관광지는 파계사, 회진당원의대사지비, 칠곡 가산산성 및 가산바위가 있고, 주변에 다른 캠핑장으로 팔공SS 오토캠핑장, 한티 별빛아래 오토캠핑장, 팔공산 파계오토캠핑장, 파계사 오토캠핑장, 가산산성마을 캠핑장이 있습니다.
야영장 사이트 수 | 187개 | ||
예약방식 | 실시간예약 | ||
편의시설 | 화장실, 샤워실, 취사장 | ||
동계캠핑 | 가능 | ||
반려동물 출입 | 불가능 | ||
땅바닥형태 | 데크, 맨흙 | ||
지번주소 | 경북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 17 | ||
전화번호 | 054-602-5900 | ||
홈페이지 | 홈페이지로 이동 |
잔디 | 데크 | 파쇄석 | 맨흙 | 기타 |
화로대사용 | 동계캠핑 | 반려동물출입 |
전기 | 온수 | 샤워실 | 매점 | 장작판매 |
온수샤워 | WiFi | 장비대여 | 수영장 | 운동장 |
낚시 | 해수욕장 | 계곡 | 산책로 | 강 |
호수 |
카라반 | 팬션 | 방갈로 | 글램핑 |
팔공SS 오토캠핑장은 경북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총 41개의 사이트가 구성되어 있고, 전기, 온수, 화장실, 샤워실, 취사장, 매점, 장작판매, Wi-Fi 등의 편의시설과 수영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한티 별빛아래 오토캠핑장은 경북 칠곡군 가산면 응추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기, 온수, 화장실, 샤워실, 취사장, 매점, 장작판매, Wi-Fi 등의 편의시설과 수영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팔공산 파계오토캠핑장은 대구 동구 중대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데크 사이트가 총 26개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 화장실, 샤워실, 취사장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파계사 오토캠핑장은 대구 동구 중대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실시간예약방식으로 예약이 가능합니다.
데크 사이트가 총 26개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 온수, 화장실, 샤워실, 취사장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가산산성마을 캠핑장은 경북 칠곡군 가산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온라인실시간예약방식으로 예약이 가능합니다.
잔디, 데크, 파쇄석 사이트가 총 19개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 온수, 매점, 장작판매, Wi-Fi, 장비대여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파계사, 2.7km
주소 : 대구 동구 파계로 741 (중대동)
문의 : 053-984-4550
* 영조의 출생 설화가 전해지는 사찰, 파계사 *804년(애장왕 5) 심지(心地)가 창건하고, 1605년(선조 38) 계관(戒寬)이 중창하였으며, 1695년(숙종 21) 현응(玄應)이 삼창하였다. 이 절에는 영조(英祖)의 출생과 관계되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숙종의 부탁을 받은 현응은 농산(聾山)과 함께 백일기도를 하였고, 기도가 끝나는 날 농산이 숙빈(淑嬪) 최씨에게 현몽하였으며, 이렇게 태어난 아들이 후일의 영조였다는 것이다. 숙종은 이에 대한 보답으로 파계사 주변 40리 이내의 조세(租稅)를 받아 쓰라고 하였으나 현응은 이를 거절하고 선대의 위패를 모시기를 청하였다. 이는 지방 유림(儒林)의 행패를 막으려는 것이었다.1979년 관음보살상을 개금할 때 불상에서 나온 영조의 어의(御衣)는 이 설화의 신빙성을 더해 주는 것이었다. 이곳은 동화사와 더불어 대구 지방의 유명한 풍치지구이며, 조계종 제9교구의 본산인 동화사의 말사로서 불상, 석등, 석불, 영조대왕의 어의가 보관되어 있다. 영산회상도는 구도나 형식에서 특색을 갖추고 있고 필법과 채색 또한 품격을 지닌 뛰어난 작품으로 18세기초를 대표하는 불화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파계사의 주요문화재 *현존 당우로 2층누각인 진동루(鎭洞樓), 법당인 원통전(圓通殿), 적묵당(寂默堂) 등이 있고, 부속암자로 현니암(玄尼庵) ·성전암(聖殿庵) ·금당암(金堂庵) 등이 있는데, 성전암은 경북 3대 도량 중의 하나이다. 문화재로 보물 제1214호 파계사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가 있다.원통전(지방문화재 제7호), 원통전목조관음보살좌상(보물 제992호) 영산회상도(후불탱화 보물 제1214호) 민속문화재(시지정) : 설선당, 산령각, 적묵당, 진동루, 기영각[산령각]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호(1984.07.25 지정) 산신각이라고 하기도 한다. 산신각은 산신을 봉안한 건물로 우리나라 사찰 특유의 전각 가운데 하나로 우리나라 불교의 토착화 과정을 짐작게 하는 좋은 증거가 된다. 산신은 원래 불교와 관계가 없는 토착신이나 불교의 재래신앙에 대한 수용력에 의하여 사찰내에 봉안되게 되었다. 산신신앙은 우리나라 특유의 산악숭배신앙과 관련이 깊지만 조선시대 이후 차츰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 신앙은 불교 본연의 것이 아니라 하여 전(殿)이라 하지 않고 반드시 각(閣)이라는 명칭을 붙이고 있다.[설선당]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7호(1984.07.25 지정)설선당은 강당으로 사용하던 건물로, 원통전을 중심으로 적묵당과 마주하고 있다. 1623년(인조 1) 계관법사에 의해 창건되어 두차례(1646, 1725)에 걸쳐 중건하였고 1762년 지붕을 다시 잇는 공사를 시행한 후 1976년에는 대대적인 보수공사가 있었다. 이 건물은 대중식당과 강습소로 사용되고 있으며, 구조양식과 가구 수법 등이 간결하면서도 견실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기영각]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1호(1984.07.25 지정) 기영각은 영조대왕을 위해 기도한다는 뜻으로 이름한 전각이다. 1696년(숙종 35) 현응조사가 성전암(성전암)과 더불어 건립하였다고 전해지며 1974년과 1983년의 두 번에 걸친 보수공사가 있었다. 건물은 화강석 바른층쌓기 기단위에 건립된 정면 3칸. 후면 2칸 규모의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구조양식은 덤벙초석 위에 원주를 세우고 주상에 주두와 함께 앙서와 수서를 장식한 외일출목 주심포계양식을 보이고 있으며 주두와 장식이 번잡하게 발달한 조선후기 공포양식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 하겠다. 상부가구는 5량가이나 우물천장으로 가리어져 있다.[적묵당]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9호(1984.07.25 지정) '적묵당(寂默堂)'이란 눈을 감고 조용히 명상을 한다는 불교용어인 적묵(寂默)에서 따온 것으로 설선당과 마주보고 있는 'ㄱ'자형의 건물로 소박한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보여주고 있다.[진동루]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0호(1984.07.25 지정) 파계사 원통전 앞에 있는 누각으로 1715년(숙종 41)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진다. 이곳은 원래 물의 줄기가 아홉갈래고 흩어져 있다하여 물길을 다시 모은다는 의미로 파계사라 이름하였다 하며, 진동루는 파계라는 이름만으로는 이 곳의 기를 제압할 수 없어 기를 진압한다는 의미로 이름하였다 한다.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2층으로 가공하지 않은 방형의 주춧돌 위에 둥근 기둥을 세우고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아래층 어칸을 통로로 하고 측간의 뒷부분을 창고로 사용하고 있으며, 2층에는 통간 우물마루를 했다. 건물의 규모에 비해 부재가 다소 약한 감이 있다. 천장은 연등천장이며, 문은 모두 미닫이 유리문을 달아 어색한 면이 있으나 익공 등에서 볼 때 조선시대 중·후기 양식에 어울리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원통전]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7호(1984.07.25 지정) 원통전은 일반적으로 관음전(觀音殿)이라고 하며, 관세음보살(觀世音普薩)을 주불로 봉안하는 불전을 말한다. 파계사는 중심전각인 원통전을 중심으로 좌우에 설선당, 적묵당 그리고 앞에는 진동루 등이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口자형을 이루고 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05년(선조 38) 계관법사가 중건하고, 1695년(숙종 21)에 현응조사때 삼창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건축양식은 정면 3칸·측면 3칸의 맞배지붕으로 가구식 기단 위에 자연석 주춧돌을 놓은 후 둥근기둥을 올리고 있다. 법당 내부의 불단은 은해사(銀海寺) 백흥암(百興庵)의 수미단(須彌壇)과 같은 형태로 정교하게 무늬를 새겨넣어 관음보살상을 모시고 있다. 불단의 상부에는 보개(寶盖)를 설치하고 있다. 원통전 앞에는 좌우 양쪽에 당간지주와 석등이 배치되어 있다. 수미단(須彌壇)은 사찰의 법당 등에 설치하는 수미산(須彌山) 형상의 단. 수미산은 불교의 우주관에서 나온 상상의 산으로 세계의 중심에 있다고 한다.[대구파계사건칠관음보살좌상및복장유물] 보물 제992호(1989.04.10 지정)파계사의 주전인 원통전의 주존불이다. 고려후기 불상양식으로 삼중의 높은 보관과 통견의를 걸치고 있으며 온몸에 장엄하고 복잡한 영락을 표현, 전체적으로 둔중한 느낌을 가지고있다. 이 불상이 차지하는 큰 의의는 1979년 개금불사 때 복장(腹裝)되어 있던 영조대왕의 어의(御依)와 어의를 복장하게 된 경위와 불상의 건립 년대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인 발원문을 발견하여 불상이 조성된 것이 최소 1448년 이전이라는 것과 불상 조각의 변천과 유사 불상의 편년을 가늠할 수 있게 된 점이라 할 수 있다.[파계사 석조부도]파계사 입구 오른쪽에 석축을 쌓아 조성(2기)되어 있다. 좌측부도는 절충장군 가선대부 보광당 전명대사지탑(1651년 효종2)으로 사각의 대석위에 6각의 석조를 놓고 2중으로 조각된 앙련좌 위에 부도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부도는 회진당원의 대사지탑(1648년(인조26)으로 6각의 대석위에 연화문을 조각, 그 위에 일석으로 된 앙련과 부련이 있고 그 위에 부도를 설치하였다.[팔공산파계사사적비] 파계사 사적비명이라 하여 파계사의 사적을 기록하고 있다. 신라 애장왕(800-808)때 심지왕사가 창건했으나 임진왜란으로 회진된 것을 1605년(선조 38년) 계관법사가 원통전을 시작으로 설선당 등을 중건하였다고 한다. 또한 파계사 삼병조사(三甁組師)인 현응대사의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1693년(숙종 19년) 10월 5일 밤에 숙종의 꿈속에 현응이 나타났다고 한다. 이에 왕이 현응대사에게 왕자 낳기를 부탁하는데 수락산(水絡山) 성전에서 100일 기도 끝에 이듬해 원자가 탄생하니 이가 후일의 영조이다. 숙종은 이에 대한 보답으로 파계사를 영조의 생전·사후의 복을 기원하는 축원당(祝願堂)으로 삼았다. 또한, 절 입구에 「대소인개하마비(大小人皆下馬碑)」를 세워 왕실 원당에 감히 말을 타고 들어오지 못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양반과 관료들로부터의 착취와 사역도 면하게 해주었다.
출처 : 한국관광공사* 영조의 출생 설화가 전해지는 사찰, 파계사 *804년(애장왕 5) 심지(心地)가 창건하고, 1605년(선조 38) 계관(戒寬)이 중창하였으며, 1695년(숙종 21) 현응(玄應)이 삼창하였다. 이 절에는 영조(英祖)의 출생과 관계되는 ...
회진당원의대사지비, 2.7km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파계로 741 (중대동)
문의 : 053-984-4550
건립연도는 1648년(인조 26년) 3월, 회진당 원의대사를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비신(碑身)은 원규형(圓圭形)으로 높이 63cm, 폭은 29cm, 두께 10cm 의 화강석이다. 비부(碑趺)는 높이 지상 16cm, 가로 59cm, 세로 49cm 타원형의 화강석으로 구성되어있다. 글씨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마모되고 비신에 큰 균열이 나 있다.
출처 : 한국관광공사건립연도는 1648년(인조 26년) 3월, 회진당 원의대사를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비신(碑身)은 원규형(圓圭形)으로 높이 63cm, 폭은 29cm, 두께 10cm 의 화강석이다. 비부(碑趺)는 높이 지상 16cm, 가로 59cm, 세로 49cm 타원형...
칠곡 가산산성 및 가산바위, 2.8km
주소 : 경북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 산98-1
* 국내 유일의 3중성, 가산산성 및 가산바위 * 산골짜기를 이용하여 쌓은 석성(石城)으로, 조선 인조 18년(1640)에 축조되었다. 가산산성이 있는 곳은 신라시대 오악신앙(五岳信仰)의 중심인 명산 팔공산 정상에서 서쪽으로 약 10km 떨어진 해발 901m의 가산은 일곱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일명 칠봉산으로 불리어지는 명산이다. 산정에 나지막한 7개의 봉우리로 둘러싸인 평지가 있고 여기서 사방으로 7개의 골짜기가 뻗어나가고 있다. 임진, 병자 양란을 겪고 난 후 조선중기에 전략적 방어를 위하여 약 100여 년간에 걸쳐 축성했다.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성을 쌓는 선 후기 건축기법을 잘 보여주는 산성으로 내,외,중성 구조로 이루어진 국내 유일의 3중성이다. 성내에는 칠곡도호부가 존재했으며, 객사·인화관(人和館)을 비롯한 관아와 군관청·군기고·보루·포루(砲樓)·장대(將臺) 등이 설치되었다. 정상에는 백여명이 앉아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대구시의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 좋은 휴식처인 가산바위가 있다. * 도선이 땅의 기운을 잡았다는 가산바위의 전설 * 가산바위는 일명 가암(架巖)이라고도 하는데 사면이 깎아지른 듯이 우뚝 솟아 있는 바위이다. 상면에 80평 정도의 넓은 평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평지 동쪽에 큰 구멍이 뚫려 있다. 사방이 트여 있어 바위 위에 서면 남쪽으로 대구광역시 전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통일신라시대의 고승 도선(道詵)이 지기(地氣)를 잡으려고 바위 위 구멍 안에 쇠로 만든 소와 말의 형상을 묻었는데 조선시대 관찰사 이명웅(李命雄)이 성을 쌓으면서 없애버렸다는 전설이 전한다. [문화재 정보] -가산산성 지정번호 : 사적 제216호 지정연도 : 1974년 3월 26일 시대 : 조선 규모 : 면적 19만 4,436㎡, 외성(外城) 3,754보, 중성 602보, 내성 4,710보
출처 : 한국관광공사* 국내 유일의 3중성, 가산산성 및 가산바위 * 산골짜기를 이용하여 쌓은 석성(石城)으로, 조선 인조 18년(1640)에 축조되었다. 가산산성이 있는 곳은 신라시대 오악신앙(五岳信仰)의 중심인 명산 팔공산 정상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