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핑장 상세 정보
* 땅바닥 형태
잔디 | 데크 | 파쇄석 | 맨흙 | 기타 |
* 이용조건
화로대사용 | 동계캠핑 | 반려동물출입 |
* 편의시설
전기 | 온수 | 샤워실 | 매점 | 장작판매 |
온수샤워 | WiFi | 장비대여 | 수영장 | 운동장 |
* 주변시설
낚시 | 해수욕장 | 계곡 | 산책로 | 강 |
호수 |
* 숙박시설
카라반 | 팬션 | 방갈로 | 글램핑 |
마을야영장, 침산추월은 세종 세종시 침산6길에 위치하고 있으며 데크 사이트가 총 8개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 온수, 장작판매, Wi-Fi, 장비대여 등의 편의시설과 운동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근에 가볼만한 관광지는 고복저수지, 합호서원, 비암사가 있고, 주변에 다른 캠핑장으로 다온숲, 블루문 오토캠핑, 풍성채 캠핑장, 합강공원 오토캠핑장, 조인캠핑장이 있습니다.
야영장 사이트 수 | 8개 | ||
편의시설 | 전기, 온수, 장작판매, Wi-Fi, 장비대여 | ||
동계캠핑 | 가능 | ||
반려동물 출입 | 가능 | ||
땅바닥형태 | 데크 | ||
도로명주소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침산6길 13 | ||
전화번호 | 전화번호 보기 | ||
홈페이지 | 홈페이지로 이동 |
잔디 | 데크 | 파쇄석 | 맨흙 | 기타 |
화로대사용 | 동계캠핑 | 반려동물출입 |
전기 | 온수 | 샤워실 | 매점 | 장작판매 |
온수샤워 | WiFi | 장비대여 | 수영장 | 운동장 |
낚시 | 해수욕장 | 계곡 | 산책로 | 강 |
호수 |
카라반 | 팬션 | 방갈로 | 글램핑 |
다온숲은 세종 전동면 깊은내길에 위치하고 있으며 온라인실시간예약방식으로 예약이 가능합니다.
전기, 온수, 장작판매, Wi-Fi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블루문 오토캠핑은 세종 연서면 기와말1길에 위치하고 있으며 온라인실시간예약방식으로 예약이 가능합니다.
잔디, 파쇄석 사이트가 구성되어 있고, 전기, 온수, 매점, Wi-Fi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풍성채 캠핑장은 세종 전동면 전동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온라인실시간예약방식으로 예약이 가능합니다.
전기, 온수, 장작판매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합강공원 오토캠핑장은 세종 세종시 연동면 태산로 에 위치하고 있으며 데크 사이트가 총 59개로 구성되어 있고, 온수, 화장실, 샤워실, 취사장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조인캠핑장은 충북 청원군 남이면 부용외천3길에 위치하고 있으며 잔디, 데크 사이트가 총 26개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 온수, 화장실, 샤워실, 취사장 등의 편의시설과 수영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고복저수지, 4.8km
주소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고복리 , 용암리
* 저수지와 공원 그리고 먹거리까지...고복저수지(군립공원) * 면적 77만㎡의 대규모 농업용 저수지이다.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만들었지만 가물치·붕어·잉어·메기 등 어류가 풍부해 전국에서 많은 낚시꾼이 몰려들자 군립공원으로 지정하였다. 공원 지정면적은 184만㎡이며 오봉산의 자연림, 동굴(용굴), 사찰(신흥사), 야외조각 전시장 등이 있다. 주변 마을에는 포도, 복숭아, 배를 재배하는 과수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 고복저수지의 다양한 즐길거리 * 저수지 한편에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 이화여대 미술대 강태성 교수가 조성한 야외조각공원이 있어 방문객들에게 또 하나의 볼거리를 제공해 주고 있다. 광장이 조성되어 있어 가족단위의 관광객이 많이 찾고 있다. 그리고 ‘민락정’이라는 정자에 올라 저수지를 한눈에 바라보는 즐거움도 빼놓을 수 없다. 다양한 자연경관을 접했다면 이제 남은 것은 먹거리. 고복저수지 주변에는 한방오리와 메기매운탕을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 등이 산재해 있어 미식가들의 입맛을 돋구어 준다. 주말에는 이 맛을 느끼려는 관광객도 많이 찾는다.
출처 : 한국관광공사* 저수지와 공원 그리고 먹거리까지...고복저수지(군립공원) * 면적 77만㎡의 대규모 농업용 저수지이다.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만들었지만 가물치·붕어·잉어·메기 등 어류가 풍부해 전국에서 많은 낚시꾼...
합호서원, 9.1km
주소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원합강1길 262-6 (합강리)
합호서원은 고려말 성리학의 선구자 문성공 안향(安向, 후에 조선 문종의 이름이 向이었으므로 이름을 고쳐 安裕라고 함)의 영정을 모신 곳이다. 1716년(숙종 42)에 안향의 15세손인 안경신(安景信), 안경인(安景仁), 안경정(安景精) 안경상(安景祥) 등이 수칸의 안자별묘(安子別廟)를 창건하고 매년 매년 음력 3월 3일, 9월 9일에 제사를 올린 것이 그 시초이다. 그러다가 1842년(헌종 8)에는 안향의 20세손인 안규용(安圭容) 등이 유림대표 임동승(林東昇) 등과 힘을 모아 영당과 신문 고직(창고) 건물을 세우고 제전(祭田)과 제기(祭器)도 마련하였다. 1843년(현종 9)에는 명칭을 합호서원이라고 고치고 사람의 공의로 덕재(德齋) 신천과 금서재 박광보(琴書齋 朴光輔)를 추배하여 춘추로 제향하다가 고종대에 대원군의 서원훼철령으로 훼철되었다. 그 후 후손들이 합호사에 건립하여 문성공의 영정만을 춘추로 향사하다가 1931년 후손 안배호(安培鎬) 등이 유림의 동의를 얻어 서원을 복설하기로 협의하던 중에 안현호, 안봉호, 안승헌 등이 계속 건물을 증축하였다. 1949년 전국 218항교의 동의를 얻은 후 서원을 복설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현재 연기유림회의 주관으로 음력 9월 12일 문성공 위일을 기하여 향사하고 있다. 서원은 낮은 구릉상에 건축되어 있는데 외삼문, 재실(齋室)과 창고, 내삼문, 사우의 순으로 건물을 배치하였다. 평지보다 높게 조영되어 계단 위에 조성된 외삼문은 솟을대문의 형식르호 위에는 흥학문이란 현액을 걸어놓았다. 성의재(成意齋)는 정면4간·측면 2간의 전퇴식 건물로 팔짝지붕이고 최근에 건축된 것으로 보여진다. 바로 옆에 있는 창고는 전사청(典祀廳)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고, 정면 2간·측면 1간의 맞배지붕이다. 내삼문도 계단위 에 설치된 솟을대문으로, 중앙에 합호서원이라는 현액을 걸어 놓았다. 내삼문 내부에는 안향의 영정을 모시고 있는 사우건물이 있는데 정면 3간·측면 2간의 건물로 정돈된 화강암기단을 높게 쌓고 화강석재의 원형초석 위에 워주를 세웠다. 측면은 반담시설이 되어 있으며, 초익공에 겹처마양식으로 맞배지붕을 올렸다.
출처 : 한국관광공사합호서원은 고려말 성리학의 선구자 문성공 안향(安向, 후에 조선 문종의 이름이 向이었으므로 이름을 고쳐 安裕라고 함)의 영정을 모신 곳이다. 1716년(숙종 42)에 안향의 15세손인 안경신(安景信), 안경인(安景仁),...
비암사, 9.2km
주소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비암사길 137
* 2000년 역사의 고찰, 비암사 * 경부선 전의역에서 남쪽으로 10킬로미터쯤 떨어져 있다. 기록이 없어 정확한 창건 연도는 알 수 없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2000여 년전 한선제 오봉 원년에 창건한 삼한 고찰이라고 하나 정확하지 않다. 충청남도 지방문화재인 비암사 극락보전과 삼층석탑을 참작하건데 고려 중기에 창건된 사찰로 추측된다. 비암사 극락보전 내 닫집은 그 제작 수법이 교묘하고 화려하며, 효종 8년(1657)에 복원되었다. 극락전 앞뜰에 있는 높이 3m의 고려시대 3층석탑 정상 부분에서 사면군상(四面群像)이 발견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 석상 중 계유명전씨아미타불삼존석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三尊石像)은 국보 제106호이고, 기축명아미타여래제불보살석상(己丑銘阿彌陀如來諸佛菩薩石像)과 미륵보살반가석상(彌勒菩薩半迦石像)은 각각 보물 제367호, 제368호로 지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 비암사 삼층석탑에 대하여 * 1985년 7월 19일 충청남도유형문화재 제119호로 지정되었다. 비암사(碑巖寺)는 운주산(雲住山) 자락에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삼층석탑은 비암사 극락보전(極樂寶殿) 앞마당에 있으며 높이 2.9m이다. 1960년 석탑 꼭대기에서 사면군상(四面群像)이 발견되었는데, 계유명전씨아미타불삼존석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三尊石像)은 국보 제106호로, 기축명아미타여래제불보살석상(己丑銘阿彌陀如來諸佛菩薩石像)과 미륵보살반가석상(彌勒菩薩半迦石像)은 각각 보물 제367호, 제368호로 지정되었다. 석탑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전체적으로 안정감이 있다. 1982년에 복원하였다. 기단부는 여러 개의 판석(板石)을 사용하여 만들었고 탑신부의 탑신(塔身)과 옥개(屋蓋)는 떨어져 있다. 상륜부(相輪部)는 노반(露盤)만 남고 모두 없어졌다.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 한국관광공사* 2000년 역사의 고찰, 비암사 * 경부선 전의역에서 남쪽으로 10킬로미터쯤 떨어져 있다. 기록이 없어 정확한 창건 연도는 알 수 없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2000여 년전 한선제 오봉 원년에 창건한 삼한 고찰이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