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벽강
금강은 전북 장수군 장수읍 수분리 뜬봉에서 발원하여 유유히 북쪽으로 흐르다가 창남에 들어서서 동남쪽에 물굽이를 틀어 서쪽 금산군 부리면 방우리에 들어선다. 여기서부터 층암절벽으로 이루어진 산 사이를 뚫고 금강이 흘러 수통리에 이르면 그 앞의 넓은 시야로 좌측으로 기암을 이루는 절벽이 있으니 이 절벽으로 이루어진 산을 적벽이라 부르고 그 아래에 흐르는











주요 정보
지번주소 | 충남 금산군 부리면 수통리 700-56번지 | ||
전화번호 | |||
홈페이지 | 홈페이지로 이동 |
주변 관광지 3개
주변 캠핑장 5개
적벽강 오토캠핑장은 충남 금산군 부리면 수통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잔디 사이트가 총 80개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 화장실, 샤워실, 취사장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도원 오토 캠핑장은 충남 금산군 부리면 예미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총 44개의 사이트가 구성되어 있고, 전기, 화장실, 샤워실, 취사장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라곰글램핑은 충남 금산군 부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온라인실시간예약방식으로 예약이 가능합니다.
금산 인삼골 오토캠핑장은 충남 금산군 제원면 용화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실시간예약방식으로 예약이 가능합니다.
총 55개의 사이트가 구성되어 있고, 화장실, 샤워실, 취사장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금산 국민여가캠핑장은 충남 금산군 제원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온라인실시간예약방식으로 예약이 가능합니다.
잔디 사이트가 총 24개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 온수, 매점, 장작판매, Wi-Fi 등의 편의시설과 운동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부리수통마을, 722m
주소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수통1길 17
문의 : 041-753-3203
남쪽으로 흐르는 금강이 서쪽으로 한굽이 구부러졌다가 산 아래 쪽으로 굽이치며 북쪽으로 흐르다 다시 한번 서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등 두굽이를 돌아도 물이 잘 통한다하여 수통골이라 불리는 마을이다. 특히, 마을에 들어서면 병풍처럼 둘러쳐진 기암절벽 아래로 유유히 흐르는 강이 어우러져 한폭의 산수화를 연상시키는 곳이 나오는데 그곳이 바로 적벽강이다. 수통 마을은 넓은 금강이 마을 앞을 유유히 흐르고 있어 농촌 체험과 함께 강변에서 야영과 휴양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산과 강을 마음껏 뛰어다니며 민물고기 잡기, 수석줍기, 배따기, 옥수수 따기, 도토리묵 만들기, 손두부 만들기, 금산지역 향토 음식인 어죽 만들기 등의 체험을 할 수 있다. 특히, 여름밤 강가에서의 횃불을 이용한 고기잡이는 아이들은 물론 어른들에게도 즐거운 경험이 될 것이다. 또한, 마을 주변은 드라마 '상도'의 촬영지로 이용되면서 인삼밭 세트장 등이 설치되어 있어서 금강의 아름다운 풍치와 함께 다양한 볼거리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 마을은 음력 섣달 그믐날 마을 뒷산에서 산신제를 지내며, 당산제, 금강 민속축제 등이 열려 우리 고유의 향토축제를 경험할 수 있다.
출처 : 한국관광공사남쪽으로 흐르는 금강이 서쪽으로 한굽이 구부러졌다가 산 아래 쪽으로 굽이치며 북쪽으로 흐르다 다시 한번 서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등 두굽이를 돌아도 물이 잘 통한다하여 수통골이라 불리는 마을이다. 특히,...
금강 농바우마을 [농촌전통테마마을], 3.7km
주소 : 충남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
문의 : 011-454-7982
기우제를 지내는 농바우가 있는 금강농바우마을은 인삼의 고장 금산 끝자락에 자리잡은 어재1리 마을이다. 금산군의 오지마을로 인심좋고 시골적 경관이 있어 살기좋은 곳으로 수박, 배, 고추, 인삼, 사과, 딸기를 주 작물 생산하고 마을 앞으로는 금강이 유유히 흘러 민물고기, 다슬기 체험이 가능하고 또한 깊은 계곡을 가지고 있는 양각산이 마을 모퉁이에 자리잡아 고사리, 버섯,산나룸 채취 체험과 계곡 물놀이가 가능하다.
출처 : 한국관광공사기우제를 지내는 농바우가 있는 금강농바우마을은 인삼의 고장 금산 끝자락에 자리잡은 어재1리 마을이다. 금산군의 오지마을로 인심좋고 시골적 경관이 있어 살기좋은 곳으로 수박, 배, 고추, 인삼, 사과, 딸기...
귀암사, 3.9km
주소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평촌1길 2 (부리면)
부리면 평촌리 귀래봉 밑에 문양공 눌재 양성지를 모신 사당과 그 묘비가 함께 위치하고 있다. 문양공은 조선초기의 학자요 문신으로, 세종조에서 성종조까지 5대 40여년 간에 걸쳐 집현전 학자, 이조판서, 대제학 등의 중임을 맡아 빛나는 치적과 많은 저서와 문집을 남겨 성종 때에 좌리공신으로 남원군에 봉해졌다. 문양공은 연로하여 벼슬을 사양하고, 부리면 평촌리에 돌아와 귀래봉 밑에 구암사숙을 열어 향토교육에 힘쓰니, 원근에서 모여드는 선비들로 성황을 이루었으며 그 교화가 널리 3남 일대에 뻗쳤다 한다. 구암사는 문양공이 개설한 사숙터에 지방유림과 후손들의 정성으로 국가 사회에 이바지한 훌륭한 공훈과 높은학문을 숭모하여 1922년 가을에 해마다 춘추로 제향을 모시고 있다. 묘정에는 문양공의 일생의 행장과 공훈을 기록한 눌재양 선생묘비가 같은 해에 세워져, 공의 훌륭한 인격과 학문과 치적이 자세히 기록돼 있으며, 그 앞에는 거북이 모양의 바위가 지금도 이 사당을 지키고 있다. 충청남도 지정 문화재자료 제 301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 규모 - 정면 3칸, 측면 1칸 * 재료 - 목조 * 소유자 - 남원양씨종중(양희찬 관리)
출처 : 한국관광공사부리면 평촌리 귀래봉 밑에 문양공 눌재 양성지를 모신 사당과 그 묘비가 함께 위치하고 있다. 문양공은 조선초기의 학자요 문신으로, 세종조에서 성종조까지 5대 40여년 간에 걸쳐 집현전 학자, 이조판서, 대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