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어섬
춘천댐 담수로 인하여 생긴섬으로, 섬내 환경보존이 잘되어있고, 축구장(잔디구장), 족구장, 테니스장, 다목적구장, 풋살장 및 수변산책로, 상설무대공연장, 화장실, 급수시설 등 레포츠와 자연휴양을 고루 즐길 수 있도록 조성된 휴양지로서 섬내에 많은 수목이 자연스럽게 밀집되어 있어 드라마, 영화 등의 촬영 배경이 되고 있는 명소이다. 붕어섬휴양지는 자연친화적인 요소

주요 정보
지번주소 | 강원 화천군 화천읍 하1리 | ||
전화번호 | |||
홈페이지 | 홈페이지로 이동 |
주변 관광지 3개
주변 캠핑장 5개
화천 생활체육공원은 강원 화천군 하남면 위라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데크, 맨흙 사이트가 총 40개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 화장실, 샤워실, 취사장, Wi-Fi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화천 휴캠핑장은 강원 화천군 화천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화방식으로 예약이 가능합니다.
데크, 파쇄석 사이트가 총 14개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 온수, 장작판매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화천 그린펜션 오토캠핑장은 강원 화천군 하남면 원천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게시판예약방식으로 예약이 가능합니다.
총 30개의 사이트가 구성되어 있고, 전기, 취사장, 장작판매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파라반은 강원 화천군 화천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총 3개의 사이트가 구성되어 있고, 전기, 온수, 매점, 장작판매, Wi-Fi, 장비대여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만산동 국민여가캠핑장은 강원 화천군 상서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온라인실시간예약방식으로 예약이 가능합니다.
습지보호지역(북한강), 1.2km
주소 : 강원 화천군 화천읍
평화의 댐 북측 상류지역에서 오작교 사이에 있는 양의대 주변 습지에는 멸종위기종 1급 4종(수달·산양·사향노루·매)과 멸종위기종 2급 5종(삵·담비·새호리기·가는돌고기·돌상어) 등 보호가치가 높은 야생동물이 서식 또는 도래하는 등 야생동물 서식지로 보호가치가 매우 큰 지역이다. 50여 년간 남북한의 소통이 두절된 채 방치되어 멸종위기의 생태계가 많이 보존되고 있으며, 생태계 보전 및 수달 서식처 보호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출처 : 한국관광공사평화의 댐 북측 상류지역에서 오작교 사이에 있는 양의대 주변 습지에는 멸종위기종 1급 4종(수달·산양·사향노루·매)과 멸종위기종 2급 5종(삵·담비·새호리기·가는돌고기·돌상어) 등 보호가치가 높은 야생동...
화천군, 1.4km
주소 : 강원 화천군
문의 : 033-442-1211
강원도 북서부에 위치한 군으로 동쪽은 양구군, 서쪽은 철원군과 경기도 포천시, 가평군, 남쪽은 춘천시, 북쪽은 철원군과 접하고 있다. 총면적은 909.03㎢이며 총인구가 24,908명(2014년 4월 기준)에 이른다. 1읍 4면 81개리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화천읍 아리이다. * 자연환경 대부분의 지역이 산지로 되어 있다. 특히 동쪽은 태백산맥이 남북으로 달리고 있어 높고 험준하며 사명산, 일산, 재안산, 수리봉등이 솟아있다. 서쪽에는 광덕산, 남쪽에는 오봉산, 용화산, 화악산, 매봉 등이 있고, 북쪽에는 대성산,적근산,백암산 등을 연결하는 광주산맥이 연봉을 이루고 있다 하천으로는 군의 동부지역을 남류하여 흐르는 북한강과 그 지류인 화천천, 마현천, 봉오천 등이 있다. * 역사 고대 -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영역에 속해 생천군 또는 야시매라 하였으며, 삼국통일 후 757년(경덕왕16) 낭천군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 고려초에도 낭천군이라 하였으며 춘주의 속군으로 삼았다가 1106년(예종1) 비로소 감무를 파견하기 시작하였다. 조선 - 세조의 왕위 찬탈이 있은 뒤, 생육신의 한 사람인 김시습이 세조의 그릇된 처사에 분개하여 이곳 사내면 삼일리에 내려와 정자를 짓고 지냈다. 1644년(인조22) 폐현되어 김화현에 합쳐졌으며 1653년(효종4) 에 다시 낭천현으로 복구되었다. 근대 - 1895년 춘천부의 관할로 되었다가, 이듬해 다시 강원도에 소속되면서 화천군으로 개칭되었다. 1910년 동면과 간척면이 병합되어 간동면으로 되고 남면과 하동면이 병합되어 하남면이 되었다. 현대 - 1954년 춘성군 사내면이 편입되고 면 사이에 일부 관할구역 개편이 있었다. 화천면은 1979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1981년 화천읍 동촌 출장소가 없어지고 하남면 강남 출장소가 개소되었다. * 문화 문화재 - 화천수복기념일인 10월 6일을 축전일로 정하고, 군민의 화합과 번영을 도모하는 용화축전이 있으며, 주요행사로는 민속행사, 문예행사 등이 이틀간에 걸쳐 거행된다. '용화'라는 축제명은 화천문화의 맥이며 정신적 지주가 되는 용화산에서 비롯된 것이다. 비목문화제 - '희생의 꽃, 희망의 바람'을 주제로 분단의 아픔을 예술로 승화시켜 전후세대의 국가관 확립과 호국안보 의식을 고취하고, 화천군적인 소재를 담은 문화축제로 개발, 육성하여 국제적인 호국, 안보문화재로 정착 발전시키고 있다. 민속 - 거북둔지의 농목장치기, 횃불싸움, 농악놀이 등을 들 수 있다. 거북둔지는 화천군에 있는 지명이고 농목장치기는 이마을에서 행하던 장치기 놀이인데 최근 용화축전을 통하여 재현되었다. 먼저, 마을 청년들이 산에 가서 화목을 지게에 한 짐씩 져서 경기장에 쌓아두고 두 패로 나뉘어 장을 치는데 장을 상대방의 문에 넣으면 승리를 하게 되어 상대의 화목까지 다 차지한다. 동제 - 용화축전행사의 하나로 용화산시제가 재현되어 거행되고 있다.
출처 : 한국관광공사강원도 북서부에 위치한 군으로 동쪽은 양구군, 서쪽은 철원군과 경기도 포천시, 가평군, 남쪽은 춘천시, 북쪽은 철원군과 접하고 있다. 총면적은 909.03㎢이며 총인구가 24,908명(2014년 4월 기준)에 이른다. 1읍 4면 81...
위라리칠층석탑, 2.4km
주소 : 강원도 화천군 하남면 춘화로 3370 (하남면)
고려시대의 옛 절터에 남아 있는 7층 석탑이다. 기단부재, 탑몸돌, 지붕돌 등이 사방에 흩어져 있던 것을 수습하여 다시 세운 것으로, 지붕돌과 탑신의 1 ·2 ·3층의 몸돌은 원래의 것이고 4층 이상의 몸돌은 1975년 복원할 때 보충한 것이다. 탑의 형태는 커다란 바닥돌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탑신의 몸돌은 각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겨놓았고, 2층에서 1층에 비해 큰 폭으로 높이가 줄어들다가 그 이후부터는 아주 조금씩 줄어들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3단씩이며,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 네 귀퉁이에서 살짝 치켜 올라갔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이 모두 없어지고 둥근 돌 하나만 남아 있다. 규모만 작을 뿐, 탑신의 몸돌에 기둥을 조각한 것이나 지붕돌받침이 3단인 점 등이 남계원칠층석탑(국보 제100호)과 매우 비슷한 양식과 수법을 보이고 있어 두 탑의 제작연대가 비슷한 시기일 것으로 보인다.
출처 : 한국관광공사고려시대의 옛 절터에 남아 있는 7층 석탑이다. 기단부재, 탑몸돌, 지붕돌 등이 사방에 흩어져 있던 것을 수습하여 다시 세운 것으로, 지붕돌과 탑신의 1 ·2 ·3층의 몸돌은 원래의 것이고 4층 이상의 몸돌은 1975년 ...